연극과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는 30대 A 씨. <br /> <br />벌써 8년 차 배우지만, 본업만으로는 40만 원 월세를 내기조차 빠듯합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30대·배우 : (연기 활동으로) 못 벌 때는 한 달 반 그 시간 동안 30만 원에서 60만 원 정도 벌었던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생활비를 벌기 위한 부업은 필수. <br /> <br />그러나 언제 캐스팅이 들어올지 몰라, 단기 아르바이트를 전전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30대·배우 : (새벽 물류창고 아르바이트 후) 3시간 정도 자고 바로 연습 갔다가. 그러면 그때부터 이제 악순환이죠. 연습 끝나면 또 몇 시간 뒤에 일하러 가야 하니까….] <br /> <br />굵직한 드라마와 영화에 여러 번 출연한 연기 경력 20년 차 B 씨도 공사장 일용직 일을 병행하며 생계를 꾸립니다. <br /> <br />한 회차분 당 50만 원 정도를 받는 드라마 일은 한 달에 한두 번이 고작. <br /> <br />그나마 촬영을 해도 편집되거나 방송이 안 나가면, 돈을 못 받는 경우가 허다합니다. <br /> <br />[B 씨 / 40대·배우 : 그냥 (편집된) 단역으로 끝나버리는, 금액적으로도 그렇고 역할로도 그렇고. 생활비의 애로사항은 항상 있는 문제여서….] <br /> <br />K 콘텐츠를 빛내는 '약방의 감초' 단역 연기자들이 박봉에 시달리며 지쳐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작비는 오르고 주연급 배우들의 몸값은 치솟는데, 단역급 연기자들의 처우는 최소한의 구제책도 없이 오히려 곤두박질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최근 2년간 방영된 드라마 9개 작품을 살펴봤더니, <br /> <br />같은 작품에서 회차별 출연료 최고액과 최저액이 각각 2억 원과 10만 원으로, 2천 배 차이가 난 사례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회차마다 주연급 배우에게 1억 원 이상을 지급하면서, 단역 배우에겐 20만 원도 안 되는 돈을 준 드라마도 3편 중 1편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연기자들은 최저 임금도 지켜지지 않는 현재의 제작 환경은 '열정페이'란 이름으로 사실상 착취나 다름없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주 우 /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탤런트지부장 : 제작사 입장에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굉장히 낮은 출연료를 제시해도 연기자들 신인들에게는 기회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회비용, 열정페이라는 생각에] <br /> <br />그렇다면 현재의 단역 배우 임금 산정엔 어떤 구조적 문제가 있는 걸까요? <br /> <br />YTN이 만난 배우들은, 소위 '통 계약'이라는 관행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30대·배우 : 연습 기간이나 공연 기간 포함해서 통 페이로 얼마, 이렇게 받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02317244504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